2025. 2. 4. 18:36ㆍ코테 스터디(Python)
17608 : 막대기
문제
아래 그림처럼 높이만 다르고 (같은 높이의 막대기가 있을 수 있음) 모양이 같은 막대기를 일렬로 세운 후, 왼쪽부터 차례로 번호를 붙인다. 각 막대기의 높이는 그림에서 보인 것처럼 순서대로 6, 9, 7, 6, 4, 6 이다. 일렬로 세워진 막대기를 오른쪽에서 보면 보이는 막대기가 있고 보이지 않는 막대기가 있다. 즉, 지금 보이는 막대기보다 뒤에 있고 높이가 높은 것이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그림과 같은 경우엔 3개(6번, 3번, 2번)의 막대기가 보인다.

N개의 막대기에 대한 높이 정보가 주어질 때, 오른쪽에서 보아서 몇 개가 보이는지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려고 한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막대기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 (2 ≤ N ≤ 100,000)이 주어지고 이어지는 N줄 각각에는 막대기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수 h(1 ≤ h ≤ 100,000)가 주어진다.
출력
오른쪽에서 N개의 막대기를 보았을 때, 보이는 막대기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6
6
9
7
6
4
6
예제 출력 1
3
예제 입력 2
5
5
4
3
2
1
예제 출력 2
5
풀이
1. 막대기의 숫자를 받아온다.
n = int(input())
2. 막대기의 높이를 받아올 빈 스택을 만든다.
stack = []
3. 막대기 높이를 받아와 스택에 넣어준다.
for _ in range(n):
stack.append(int(input()))
4. 마지막 막대기의 높이를 기준으로 비교함으로 마지막 막대기 높이를 num 변수로 받아놓고 해당 숫자보다 클 경우만 카운트하기 위해 count = 1 로 초기 설정을 잡아준다.
num = stack[-1]
count = 1
5. 뒤에서부터 비교하여 num보다 클 경우 count +1을 해준 뒤 count를 출력한다.
for i in reversed(range(n)):
if stack[i] > num:
count += 1
num = stack[i]
print(count)
* 제출시 시간초과가 떴기 때문에 sys 모듈을 사용하여 시간초과 문제를 해결함.
제출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stack = []
for _ in range(n):
stack.append(int(input()))
num = stack[-1]
count = 1
for i in reversed(range(n)):
if stack[i] > num:
count += 1
num = stack[i]
print(count)
'코테 스터디(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일차 - 식당 메뉴 ( 백준 - 26043번 ) (0) | 2025.02.06 |
---|---|
13일차 - 큐 ( 백준 - 10845번 ) (0) | 2025.02.05 |
11일차 - 스택 ( 백준 10828번 ) (0) | 2025.02.03 |
10일차 - 회상 ( 백준 - 32953번 ) (0) | 2025.01.24 |
9일차 - 전주 듣고 노래 맞히기 ( 백준 - 31562번 )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