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쿼리스트링, URL 파라미터, Body)

2024. 5. 31. 23:30TIL

 

쿼리스트링, URL 파라미터, Body

 

 

💡 쿼리스트링(QueryString)과 URL파라미터(URL Parameters), Body(Request Body)는 모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됩니다.

 

1. 쿼리스트링(QueryString)

 

 - 쿼리스트링은 url의 일부로 ?뒤에 key=value 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예시) https://www.example.com/search?영화카테고리=스릴러
node.js에서 값을 받는 방법 - req.query

- 쿼리스트링 방식은 주로 Get 요청에서 사용되며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할때, 페이징할 때 사용됩니다.

- URL에 포함되기 떄문에 사용자가 URL을 저장하거나 공유하기 쉬우며 간단한 데이터 전달에 유용하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2. URL파라미터(URL Parameters)

 

 - url 파라미터는 url의 경로 일부로 사용되며 : 뒤에 를 사용하여 사용합니다.

(예시) https://www.example.com/movies/:movieid
node.js에서 값을 받는 방법 - req.params

- 주로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여 접근할 때 사용하거나 RESTful API 설계시 자주 사용됩니다.

 - url 파라미터 사용시 리소스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 url 구조가 고정되어 있어 복잡한 데이터 전달에는 어려우며 한정된 데이터만 전달합니다.

 

3. Body(Request Body)

- Body는 http 요청 본문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합니다. JSON, XML, 폼데이터 등 다양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
 "title" : "해리포터"
 "content" : "재밌습니다."
}
node.js에서 값을 받는 방법 - app.use(express.json())
                            req.body
*express.json() :  json이 문자열이기 때문에 object형태로 바꿔줍니다.

 

- 주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되며 복잡하거나 민감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합니다.

 - 구조화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데이터 길이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가 url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url을 통해 접근하거나 공유하기 어렵습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팀프로젝트-팔로우기능 )  (1) 2024.06.04
TIL ( Git/GitHub non-fast-forword 오류 )  (0) 2024.06.03
TIL ( 학습질문&답변 )  (0) 2024.05.30
TIL ( Transaction )  (0) 2024.05.29
TIL (Access Token & Refresh Token)  (0)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