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80)
-
TIL (Linked List 작성해보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4.07.16 -
TIL (Redis란 +cache)
💡Redis Redis - Redis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빠르게 읽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key-value 구조)-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와 다르게 디스크가 아니라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매우 빠른 응답 속도를 보여주며, 캐싱, 세션 관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징 • 성능 : 모든 Redis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대기 시간을 낮추고 처리량을 높여 평균 작업 속도가 1ms로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보다 빠르다.• 유연한 데이터 구조 : Redis의 데이터는 String, List, Set, Hash, Sorted Set, Bitmap, JSON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
2024.07.15 -
TIL( Linked List )
💡Linked List 의의 - 연결 리스트(Linked List)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로, 각 요소가 노드로 구성되며, 이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한다.- 연결 리스트는 배열과 달리 요소들이 물리적으로 연속된 위치에 저장되지 않으며, 대신 각 요소가 다음 요소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다. 종류 1. 단일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하나의 포인터를 가지며, 마지막 노드는 null을 가리킨다. 2.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 각 노드는 데이터,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 이전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가지며, 양방향으로 탐색이 가능한다. 3.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
2024.07.11 -
TIL ( 타입스크립트 - 제네릭 )
💡 제네릭(Generics) 의의 - 제네릭(Generics)은 함수,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이 다양한 타입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제네릭을 사용하면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고 타입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타입을 변수처럼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사용방법 - 타입스크립트에서 제네릭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함수나 클래스 선언 시 타입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타입 매개변수는 보통 T 로 표기한다. • 제네릭 함수function identity(arg: T): T { return arg;}// 사용 예시let output1 = identity("Hello");let output2 = identity(42); • 제네릭 인터페이스interface GenericIdentit..
2024.07.10 -
TIL (SQL문법 - JOIN )
💡SQL문법 - JOIN : INNER, OUTER, CROSS, SELF JOIN- 두개의 테이블을 엮어 데이터를 추출해야하는 경우 JOIN을 사용하게 된다.- 두 테이블간의 관계를 엮기 위해서는 기본키와 외래키로 관계를 맺어야하며, 테이블의 관계마다 1 : 1 , 1 : N , N : M 관계가 형성된다. INNER JOIN - 두 테이블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그냥 JOIN 이라고 부르면 INNER JOIN 을 의미한다.- 두 테이블 간의 일치하는 데이터만 반환한다. OUTER JOIN (FULL OUTER JOIN) - INNER JOIN은 두 테이블 모두 일치하는 데이터를 내보내지만 , OUTER JOIN은 한쪽 테이블이 가지고 있지 않는 데이터도 내보낸다. (데이터가 없..
2024.07.09 -
TIL ( Injection )
💡Injection 의의 - 인젝션이란 주입, 삽입으로 주로 보안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 시스템에 악의적인 코드를 삽입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도하는 공격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흔한 형태의 인젝션 공격은 SQL 인젝션(SQL Injection)이다. 유형 1. SQL 인젝션(SQL Injection) - SQL쿼리에 악의적인 SQL코드를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거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이다. - 예시 : 로그인 쿼리에 'OR '1' = ' 1 같은 코드를 입력하여 인증을 우회하게한다. 2.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Cross-Site Scripting)- 웹 페이지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공격이다.- 예시 : 댓글이나 검색창에 ..
2024.07.08